1. 기기적인 결함 발견
CaII를 찍는 카메라의 높이가(수직테이블에서 CCD가 앞쪽으로 놓여지는 길이) 7~8밀리미터 작게 제작된 것을 발견했다.
CaII 카메라에 Ha 필터를 끼워서
양쪽 카메라에서 같은 영역을 스캔해서
분해능을 비교해보려고 시도하던 중,
분광선의 기울기가 생겨서 조정을 하다가 발견..
그전까지는 분광기 가림막을 사용하지 않았고, Ha에만 신경을 써서 알아채지 못했었지만
광수와 얘기를 나누던 중에 발견함..
장선생님께 말씀드려서 장착되는 부분을 8mm 정도 길게 만들어주시겠다고 하심.

2. 그 외 필요한 물건 제작요청
필터아답터를 두개만으로 쓰려니
필터를 바꿔끼는 것이 상당히 번거롭고, 정렬을 어렵게 만들어서
여분의 아답터 제작을 장선생님께 요청..
CCD를 기울이게 하는 커다란 나사의 나사선을 길게 만들어달라고도 요청드림..

3. Hinode 와의 공동관측
우주에서 관측하는 Hinode와 지상에서 관측하는 FISS를
같은 시간에 같은 대상을 보도록 하여 관측중..
관측 전날에 다음날 관측좌표를 받아서
이곳의 망원경을 같은 좌표로 향하게 하여 관측..
이번 관측은 내일이면 끝난다.
다음번 공조관측은 8월 중순에 예정되어 있음..
 

Posted by 해 바라기
,

1. 관측
태양디스크의 흑점, 필라멘트 끝부분, 활동지역 관측
현재 맞춘 초점은 CaII에서 아직 분해능이 떨어지고 있음
Ha의 경우 잘 맞아서, Continuum line에서 Granulation이 잘 보이는 수준..

흑점관측의 경우,
아직 큰 흑점은 관측하지 못함.
그래서 Umbral Flash가 아직은 보이지 않고 있음.
6월 30일 관측에서는 TiO band 영상도 같이 관측함(임은경 박사)
Speckle Reconstruction을 한 후 데이터를 주기로 함..

D1,2,3 line 관측의 경우
D1, D2의 경우 강한 선이어서 관측이 잘 되었음.
D3 line의 경우, 상당히 약한 선이어서 raster image를 만들긴 했으나 Continuum과 그리 차이를 보이지 않음.

필라멘트 관측의 경우
필라멘트와 필라멘트가 이어지는 부분,
필라멘트의 끝 부분,
Hedgerow filament가 Limb 근처에 있어서 그날 찍고, 다음날 조금 더 Limb 쪽으로 돌아간 상태에서 관측..


2. 변경사항
CaII 초점 조정..
영상을 보면서 조금 더 초점을 조정해봄..
Ha 카메라에 CaII 필터를 끼고 양쪽 카메라에서 영상을 얻어봄.
Ha쪽 카메라에서 초점이 훨씬 더 잘 맞음..
CaII가 확실히 분해능이 떨어지는건 확실함..


FISS Slit에 들어오는 Beam Size 변경
AO쪽에서 광학계를 정렬하면서 FISS에 들어오는 Beam Size가 줄어듬.
들어오는 FOV가 FISS의 FOV보다 크기 때문에 관측에는 문제가 없다고 얘기했음.
그렇지만 넓은 영역을 스캔하게 될 경우 FOV 때문에 잘릴 수 있음..


CCD를 제어할 컴퓨터와 관련 프로그램 개발사항(희수)
현재 구동은 잘 되고 있다고 함.
잡다한 기능들은 아직 갖추지 못한 상황..
구동 컴퓨터의 운영체제는 한글 Windows7(처음 설치된 윈도우)에 영문팩을 깔아서 올꺼라고 함..
운영체제를 SSD에 설치하고, 저장되는 데이터 역시 거기에 저장하게 하려고 생각중이라고 함...
그렇게 되면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시간을 단축시킬수 있을걸로 예상된다.

 

3. 교수님 제안사항..
- Focus를 잡을 때 실시간 Spectrogram 을 보고 맞춰볼것.
  실시간 이미지에서 어느정도에서 잘 맞는지 맞춰보면서 감을 익힐것..
  초점의 경우, Flat Image에서 맺히는 영상을 보고서도 판단이 가능함..

- CaII 쪽 카메라에 대해서 Ha 필터를 끼고 양쪽 카메라에서 Ha로 같은 지역을 관측해볼것..
  내가 초점관측을 위해 했던 것과 반대상황..
  생각해보니 이 방법을 써서 CaII에서 초점을 잘 잡으면 그 상태에서 CaII 필터로 바꾸어 그대로 쓰면 될 것 같다.

- 임은경 박사에게 FISS 관측하는 법을 전수해줄것.
  안광수 박사는 기기때문에 바쁘기 때문에 임박사에게 전수해주는게 중요함..
  본인이 필요할때 관측을 할 수 있을것이고, 혹시나 한국에서 관측자가 온다고 하더라도 옆에서 도움을 줄 수 있을것임..

- 관측할때 플레어가 보이면 반드시 관측할것
  평소에 보기 힘든 대상이기 때문에 보이면 반드시 관측..

- 논문작성할것 ㅜㅜ

Posted by 해 바라기
,


 


 FISS Scan Images
6월 24일에 얻은 영상.
스캐너로 태양의 이미지를 움직여서 찍은 분광데이터로 만든 태양의 활동지역(AR11241)의 모습
자속(magnetic flux)가 아래쪽에서 생성되면서 만들어지는 지역으로
Emerging Flux Region 이라고 불리며
자기장 데이터로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자기장이 발생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채층에서 관측하면 한쪽 극성과 다른쪽 극성을 연결하는 필라멘트들이 보이는데
이를 Arch Filament System(AFS) 이라고 부른다.

지금 보이는 영상에서 보이는 필라멘트들이 AFS임.

태양의 영상을 움직이면서 분광데이터를 얻기 때문에
공간에 대한 정보, 분광에 대한 정보를 모두 얻을 수 있으며
분광정보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파장에서 보이는 태양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됨..

붉은색 영상은 Ha(656.28nm)에서,
녹색 영상은 CaII(854.2nm)에서 관측하여 만든 영상..

작년에 관측했을 때보다 공간 분해능이 훨씬 올라가서 보이는 대상이 뚜렷하게 보이고 있음.
CaII의 영상이 Ha 에서보다 좀 더 퍼져있는것처럼 보여서 조정의 여지가 있지 않을까 생각중..

Posted by 해 바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