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님 방 앞 게시판에 만든 포스터 화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다고 하여,
숫자나 어려운 말들은 가급적 배제하고 만든 포스터..
Posted by 해 바라기
,

지난주 내내 연구원으로 출근..
월,화,수요일까지 날씨가 흐려서
레이저로 광축정렬을 하고 미비한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있다가
목요일 오전에 모처럼 해가 나와서
햇빛을 사용하여 분광관측 수행..
거울각도를 조절하고 입사되는 빛의 경로 조정, 슬릿폭 조절 등을 통해서
처음으로 태양빛으로 분광선을 얻는 데 성공..

슬릿의 폭이 너무 작아서 칼날로 슬릿을 만든 다음
그걸 사용해서 분광관측 수행..
포커스가 맞지 않아서 흐릿하게 선의 형태만 나타난 상태임.

이제 햇빛을 봤으니 좀 더 잘 나타나도록 개선을 해야할듯..

Posted by 해 바라기
,


 



현재 연구원에서 제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GUI 부분..
프로그램은 CVI 를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있고, 겉으로 보이는 GUI 를 구성하는 부분과
그 GUI에서 호출되는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부분,
그리고 장치를 움직이고 세팅하는 핵심 역할을 하는 함수들이 모인 3가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에 Scanner와 CCD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광수와 내가 각각 개발했고
그 프로그램을 하나로 합쳐서 구동 테스트 중..
광수는 미국으로 가 있는 상황이에서 직접적인 도움은 어려운 상황이구.
기존에 광수가 만든 프로그램은 GUI 이벤트 처리부와 기기구동부를 같이 짜 놓아서
그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전역변수들 역시 정리했다.

그리고 내 프로그램에서 보이던 중복되는 부분들을 모듈화 시켜서 좀더 깔끔하게 보이도록 만들었고
일부 눈에 띄는 개선점들을 개선하고 있는 중..
희수의 작업 때문에 데이터 디스플레이 부분이 부족하다는 것을 새삼 느껴서 그 부분 역시 보완중..

이제 왠만한 기능들은 구현이 되었고, 이걸 제대로 구성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일이 남았는데
디자인감각이 없어서 그런지 어떻게 만들어야하는지 감이 없다. -_-;;
이거 생각하는것도 꽤 골머리 아플듯..

Posted by 해 바라기
,

Journal of Astron Space Sci.21(4), 429-440, 2004

'in KASI'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t Fielding For Solar Full Disk Ha Monitoring System Of KASI  (0) 2012.03.12
CVI 재코딩..  (0) 2012.03.12
Posted by 해 바라기
,

The paper which printed in Publications of Korean Astronomical Society(PKAS)
It's written by Korean. It shows how to get flat field and apply that process.

Posted by 해 바라기
,

CVI 재코딩..

in KASI 2012. 3. 12. 21:09



Labwindows/CVI 8.5 버젼..
그전에 8.1을 썼는데, 8.5에서 수정하려고 하니 제대로 입력이 되지 않는 문제 발생..
할수없이 8.5로 재 인코딩..

그 전에 만들어놓은 코드들을 그대로 옮기면서 보고 있는데,
참 쓸데없이 만든 것들이 많다.
어떤 변수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혹은 기능들을 모두 구현하기 위해 그런것들이겠지만..
조금은 이 프로그램에 대한 감도 잡은것 같고, 조금은 내 스스로 만들 능력도 생긴듯..
하지만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Posted by 해 바라기
,

solar physics tex form

solar physics homepage - 왼쪽 journal, about tab 에서 about 선택 - 아래쪽에서 about this journal 클릭 - 오른편의 For Authors and Editors 메뉴 펼치기 -  Author Tools 에 있음..

Posted by 해 바라기
,
1. 바닥고르기(Flat Fielding)
필요한 데이터
가. Flat을 구하기 위해 찍은 Flat 화일
이 화일은 Grating을 특정 각도에 두고 공간방향으로 스캔한(예를 들어 250프레임) 데이터를 평균화해서 얻는데
Grating의 각도를 바꿔주는 과정을 7번 반복함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화일은 512*256*7 혹은 502*250*7 사이즈의 화일이 됨
이 화일에서는 이미 암잡음 처리를 해서 저장되어 있음

나. Calibration File 생성
Flat Data에서 네번째 평균된 스펙트럼을 뽑아내어 따로 저장..

다. fiss_get_flat 수행
이 프로시저 안에서 fiss_slit_pattern 함수가 수행됨
fiss_slit_pattern  함수안에서 스펙트럼 선이 수직방향에 대해서 얼마나 기울었는지(tilt angle),
그리고 슬릿 패턴이 어떻게 보이는지(슬릿 폭의 비균일성이나 슬릿 날이 얼마나 매끈한지 등..)를 계산함.
계산한 값을 바탕으로 flat pattern, slit pattern을 각각의 fits 화일로 저장


2. 데이터 처리
fiss_cal_par, fiss_prep 이 대표적인 수행 프로시저
fiss_cal_par에서 tilt angle, slit pattern, wavelength calibration 등을 계산함.
여기서 계산된 값들을 입력변수로 집어넣어서 fiss_prep에서 bias,dark, flat, tilt, wavelength calibration 등을 해서 
화일로 저장함.


3. 압축 
Principle Component Analysis를 사용하여
영상처리된 화일을 1/20 크기로 압축해줌.. 
Posted by 해 바라기
,

low pass filter : img_low=smooth(img*1.,5)   <--영상을 흐릿하게 해 주는 방법

high pass filter : img_high=img*1., - img_low   <--원래 영상에서 느리게 변하는 것을 뺀 것이 high pass filter를 적용시킨 것임

두 경우 다 실제 영상을 봤을 때 극단적으로 보인다는 점..
실제 영상을 보여줄 때 이것을 보여주는건 별 의미가 없음..
선명하게 보이고 싶을때는 low pass filter 와 high pass filter를 결합할것
다만 두 필터를 조합할 때 high pass filter에 비중을 주되, 눈으로 적절히 비율을 조절해서 그리면 될듯.. 


 


img_low=smooth(img*1.,5) : low pass filter





img_high=img*(1.),- img_low   : High pass filter   



 



 

 

tvscl, img_low + 3 * img_high
여기에서는 3을 썼으나 이 값을 사용자가 임의로 바꾸어서 영상의 선명도를 조정해줄 수 있음



원래영상(위), 보정된 영상(아래)

 

'Data Analy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NC 설정  (0) 2020.04.13
Solar Physics Tex form  (0) 2012.03.12
FISS 데이터 처리 과정  (0) 2012.03.12
Xmanager 로 Hinode 접속시 주의사항  (0) 2012.03.12
Hinode 서버 접속방법 정리 (Tunneling 이용)  (0) 2012.03.12
Posted by 해 바라기
,

Xmanager로 Hinode를 접속할 때 두 개의 주소가 있다.

첫번째로 들어가는 주소와, 그 주소를 통해서 들어가는 세부 주소가 그것이다.
첫번째 주소가 일종의 터널을 만들어서 그걸 통해서 두번째 주소로 접속하는 것이다.
(이것은 Hinode 서버를 접속할 때 SSH Secure를 통해서 접속하는 것과 같은 원리임)
첫번째 주소는 solar-b.nao.ac.jp 이며 이 주소로 접속시 화일목록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두번째 주소는 sagami.mtk.nao.ac.jp 이며 외부에서는 막혀 있어서 직접 접속이 불가능하다.

1. Xstart로 접속시 실행명령 문제 
Xmanager에서 Xstart를 통해서 접속할 경우 실행명령을 주게 되어있는데, 
Hinode 서버는 Solaris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옵션으로 주는 Solaris를 체크하고 들어가면 터미널 창이 열리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아마도 일본어로 되어있는 Solaris의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인듯..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실행명령을 Linux로 설정한 후에
명령창에서 X11R6 부분을 지우고 쓰면 이 문제는 해결된다.
즉 명령어는 이렇게 쓰면 된다.

/usr/bin/xterm -ls -display $DISPLAY


2. Xstart를 통해서 solar-b 에 접속후에 sagami에 접속할때
이때는 ssh 명령을 사용하여 접속하면 된다.

ssh sagami.mtk.nao.ac.jp

이렇게 입력하면 접속자의 패스워드를 물어보게 되고 입력하면 바로 쓸 수 있게 된다.
Posted by 해 바라기
,